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20일 발생한 가스흡입 사고는 안전규정을 무시한 전형적인 안전사고로 드러났다. 공장내 슬러지(찌꺼기) 청소작업을 하던 용역업체 직원과 포스코 직원 등 6명이 작업 중에 발생한 일산화탄소에 질식, 3명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다. 그중 2명은 회복되고 있으나 여전히 중태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에서 사망했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원인과 안전규정 준수여부 등을 확인하는 수사에 착수했다.
포스코는 잇단 사고에 포항제철소장을 전격 해임하고 그룹 차원의 안전특별진단 TF팀을 꾸려 사고원인 규명과 재발방지에 나섰다. 이에 앞서 포스코 그룹은 사망사고가 이어지자 지난 7월 안전관리 전문회사를 신설하겠다고 밝히고 스위스의 글로벌 안전 전문 컨설팅사인 SGS 및 안전 컨설팅 기업 dss와 협력해 포스코세이프티솔루션을 9월에 설립, 포스코와 관계사가 상호 소통하면서 실효성 있는 현장 중심의 안전조치를 강화하고있다. 그럼에도 포스코에선 산재사고가 올해에만 7번이나 발생,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11월 5일엔 스테인리스 압연부 소둔산세공장에서 포스코 DX의 하도급업체 소속 근로자 4명이 전기 케이블 설치작업을 위해 화학물질 배관을 밟고 이동하던 중 배관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 유해화학 물질에 노출된 근로자가 숨졌고 나머지 20∼30대 근로자 3명은 화상을입었다. 20일엔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 중 협력업체 및 포스코 소방대원 6명이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가 또 일어났다. 반복되는 유해가스 흡입사고 방지는 철저한 안전교육과 기본안전수칙 준수가 필수적이다.
포스코는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을 생산하는 국내기간산업의 간판기업인데 연속 사고가 이어진다는 건 노사간의 안전 불감증과 함께 경영진의 안전관리 책임이 크다.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최고경영자도 책임져야 할 사안이다. 고용노동부는 사고발생 후 사고가 난 포스코 작업장에 작업중지 권고를 내렸지만 현장에선 노·사 갈등, 원청과 하청, 정규직과 비정규직 등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다. 갈등을 해소하는 사회적 대화, 제도적 장치가 중요하다. 사고원인을 철저히 조사, 안전관리를 강구하는 근본대책을 세워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