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노후 아파트, 대형 건설현장, 다중이용 시설 등 안전점검 추진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11월부터 내년 2월까지 ‘안전한 집, 안전한 일터’를 목표로 한 2025~2026년 겨울철 화재예방 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총 2만6998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겨울철(12월~다음해 2월)에는 7224건으로, 전체 화재 건수 대비 26.7%를 차지했다.
겨울철 화재 발생 장소는 공동주택 등 주거시설이 2749건(38.1%)으로 가장 많았으며 판매·업무·음식점 1575건(21.8%), 야외 1123건(15.5%) 순이었다.
동기간 인명피해는 총 1577명으로 이중 겨울철에 발생한 피해는 467명(사망 61명, 부상 406명)으로 전체 대비 29.6%를 차지했다.
특히 사망자는 61명으로 전체 화재 사망자 159명의 38.3%에 해당하며 이 중 80.3%(49명)가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겨울철 화재안전대책은 ▲대형 화재 등 사회적 이목이 집중되었던 화재에 대한 중점 예방대책 전개 ▲겨울철 화재 안전망 강화 ▲시민 밀착형 안전문화 정착 ▲유관기관과 합동 대응체계 확립 등 협업 강화의 4대 전략과 그에 따른 11개 과제로 나눠 추진된다.
세부 중점 추진사항으로는 ▲데이터센터, 노후 아파트, 대형 건설현장 등 화재예방 활동 강화 ▲물류창고, 대형 마트,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 선제적 안전점검 ▲폐전지 분리배출, 리튬이온배터리 안전 수칙 등 대시민 홍보활동 강화 ▲화재 등 재난 발생 시 유관기관 합동 대응태세 확립 등이다.
홍영근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화재 발생이 빈번한 겨울철 기간, 시민의 안전을 한층 더 강화하고 인명피해 저감을 최고 목표로 현장 중심의 소방행정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겠다”며 “시민들께서도 안전한 겨울철 나기를 위해 전기·가스 및 난방기기 안전사용 등 화재 예방과 안전관리에 각별한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