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이섬은 가평? 광교 이전은 2016년?"…심각한 AI 정보 왜곡
AI가 퍼뜨리는 황당 오류, 도민이 직접 잡는다
김동연 지사, "AI 오류 신고에 인센티브 도입"…시민 참여형 감시 시스템 제안
경기도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와 손잡고, 생성형 AI가 퍼뜨리는 부정확한 정보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이를 위해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글로벌 AI 대사'를 양성하고, AI 오류 신고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새로운 민관 협력 모델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3일 경기도청에서 박기태 반크 단장과 만나 이 같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생성형 AI가 만들어내는 정보 왜곡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강원도 춘천시의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 소재로 안내하거나, 경기도의 광교청사 이전 연도를 2016년, 2023년 등 제각각으로 답하는 황당한 사례가 공유됐다.
이 밖에도 기후행동 기후소득, 버스 환승제 등 경기도의 핵심 정책에 대한 서술 오류, 문화유산 이미지 변형 등 역사적·행정적 오류가 다수 발견돼 시급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기도와 반크는 도민이 직접 AI 정보 오류를 바로잡는 새로운 민관 협력 모델을 추진한다. 핵심은 청소년과 청년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AI 대사' 양성이다. 이들이 'AI 시대의 디지털 독립운동가'로서 경기도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오류를 찾아내는 활동을 펼치게 된다.
김동연 지사는 도민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AI 오류는 공공기관보다 일반 도민이 더 잘 찾을 수 있다"며 "오류를 신고하는 분들께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을 적극 고려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공식 SNS를 통한 오류 신고 캠페인 ▲도내 대학·기업과의 협력 모델 구축 ▲경기도형 AI 검증 플랫폼 및 오류 아카이브 구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도민들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