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SPC삼립 시화공장서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허영인 SPC그룹 회장(왼쪽)과 논의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허영인 SPC그룹 회장(왼쪽)과 논의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것이라면 정말로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5일 경기 시흥의 SPC삼립 시화공장서 열린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현장 간담회서 위와 같이 밝혔다.

위 공장은 지난 5월 노동자가 기계에 끼어 사망한 곳이며, SPC는 그룹 내 산재 사고가 수년간 지속 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대통령은 “저도 노동자 출신이고 산업재해 피해자이기도 한데 그로부터 수십 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노동 현장에서 죽어가는 노동자들이 너무 많다”면서 “떨어져서 죽고, 깔려서 죽고, 끼어서 죽는 산재가 불가피하게 우발적으로 예측 못 한 상태에서 발생하면 이해되지만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사고가 반복되는 건 문제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예측할 수 있고 방지도 할 수 있는데 왜 똑같은 일이 벌어지나”라며 “추측할 수 있는 원인 중 하나는 예방을 위한 비용과 사고가 났을 때의 대가가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특히 “개별 사건마다 원인을 분석해봐야 하겠지만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것이라면 그건 정말로 바꿔야 한다”고 이 대통령은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꼭 여기서(시화공장) 벌어졌던 사건뿐만 아니라 OECD 국가 중 최고를 자랑하는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의 단초를 마련해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새 정부는 각종의 사유로 너무 많은 사람이 죽어가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근본적으로 바꿔보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키도 했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