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주장

/ 한화오션 누리집. 
/ 한화오션 누리집. 

최근 경남 거제에 있는 한화오션서 하청노동자가 야간 작업 중 사망했다. 노조는 사측의 산재 은폐를 주장하며 근절 대책을 요구했다.

4일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밤 9시30분 경 파워그라인더 야간 작업을 하던 하청노동자가 가슴 통증을 호소해 탈의실에서 휴식을 취하다 통증을 호소, 대우병원으로 이송됐다.

병원서 급성 심근경색 진단을 받았고 상태가 악화돼 심폐소생술이 실시됐지만 당일 사망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재해 노동자는 응급 상황에서도 한화오션 구급대가 아닌 회사 차량과 오토바이를 통해 병원 이송됐다”며 “재해 사실이 알려지면 혹시라도 받게 될 불이익에 대한 염려 때문에 신고를 꺼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 하청노동자 사망은 이 같은 한화오션의 산재은폐 현실을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한화오션이 고용노동부에 제출한 2023년 원하청 통합 산업재해 현황을 제시했다. 하청노동자 인원 수는 정규직 노동자 보다 2배 가까이 많지만 사고재해자 수와 질병재해자 수 모두 정규직보다 적은 걸로 나오는데, 조선소에선 상대적으로 더 위험한 직접 생산의 80% 이상을 하청노동자가 담당하고 있기에 실제 발생한 하청노동자 산재의 절반 이상이 은폐되고 있다는 게 합리적 추론이라고 이들 노조는 주장했다.

작년 한화오션에서 중대재해 4건을 포함 노동자 7명이 목숨을 잃었다. 거제사업장서 폭발 사고로 1명, 잠수 작업 노동자 1명 사망 등이 대표적인데 모두 하청업체 소속이었다. 이로 인해 한화오션 측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사과를 하기도 했지만 임원의 진지하지 못한 청문회 내 태도로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이후 한화오션 측은 3년 동안 약 2조원을 안전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에 대해 노조는 “노동자들은 현장이 안전해졌다고 전혀 느끼지 못한다. 노동자에 대한 통제와 페널티만 강화되었을 뿐”이라고 했다.

대표적으로 작년 추락 사망사고가 발생했고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의원들에 의해 추락방지시설 미흡이 지적됐는데 노조는 “지금도 추락방지시설은 전혀 개선되지 않았고 다만 안전고리 체결이라는 하청노동자에 대한 통제와 책임만 강화됐다”고 주장했다.

노동자 페널티 내용 담긴 한화오션 12대 안전수칙 / 노조 제공. 
노동자 페널티 내용 담긴 한화오션 12대 안전수칙 / 노조 제공. 

또 최근 ‘12대 안전수칙’을 위반할 경우 노동자에 대한 페널티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을 발표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정규직 노동자와 하청노동자 사이에 페널티 내용에 차별을 뒀고 하청노동자는 사실상 해고하는 것이라고 노조는 주장했다.

한화오션 측은 이번 사고와 12대 안전수칙에 관해 “사측에 보고된 바 없는데 산재 은폐라고 하는 것은 무리”라고 했고 “12대 안전수칙도 위험한 조선소 환경에서 당연히 지켜야 할 부분인데 이것을 통제라고 보는 것은 과도하다”고 밝혔다.

한편 한화오션 수뇌부 쪽은 앞선(옛 대우조선해양) 중대재해 관련,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것과 관련해 법정에 설 예정으로 전해졌다. 법조계에 따르면 창원지법 통영지원은 중대재해처벌법 혐의로 기소된 전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 사장과 법인에 대한 공판 등 판결 절차를 밟는 것으로 전해졌다. 

키워드

#한화오션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