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근 자유기고가
‘100세 시대’, ‘노인 인구 1000만명 시대’. 바로지금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으로 진입하면서 하루가 다르게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2025년 1051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20.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2060년 44.2%, 2072년 47.7%로 오를 것으로 추산됐다.
이러한 노인 증가 시대를 맞아 노인으로 인정받는 나이도 점차 상향되고 있는 추세다.
예전에는 환갑인 60세부터 노인으로 간주했지만 지금은 명함도 못 내밀 나이다.
정부의 각종 공식 통계도 65세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노인으로 구분되는 당사자들의 생각은 또 다르다.
65세면 아직 충분히 사회에서 활동하고 일 할 나이라고 생각하고 스스로를 노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사회 인식 및 여건의 변화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과거와는 차원이 다르게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때문에 많은 이들이 정년퇴직 후에도 직장을 갖고 제2의 인생을 영위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증가와 사회진출은 멈출 수 없는 시대 변화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 바로 일터에서 안전이다.
노인들 자신은 인정하기 싫은 현실이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력, 순발력, 판단력이 떨어진다.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자연의 이치다.
때문에 위험상황 발생시 대처 능력이 젊은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우려는 실제 통계로도 연결되는데 안전보건공단이 공개한 산업재해현황분석데이터 2023년 연령별 사망자수에 따르면 전체 산재사망자의 2016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1051명이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뿐 아니라 크게 작은 부상자도 속출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동 강도가 약하다고 알려진 노인일자리 사업중 안전사고 건수는 2019년 1448건, 2020년 1350년, 2021년 1762건, 2022년 1658건, 2023년 3086건으로 전반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다.
이같은 현실에도 불구하고 관계 당국의 대응은 소극적이다.
노인들의 특징과 사회 진출 분야를 감안한 정부 차원의 안전 대책이 있었는지는 고사하고 그 흔한 안전교육이라도 잘 진행했는지 묻고 싶다.
노인 일자리 사업 추진 전 별 감동 없이 형식적으로 몇 마디 전달하는 교육이 전부라고 생각한다.
우리처럼 고령자 산재가 증가하고 있는 일본은 기업에게 고령자 산재 방지 대책 마련을 의무화한 노동안전위생법 개정안을 마련중이라고 알려졌다.
우리도 하루 빨리 노인 산재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로드맵과 실행계획이 필요하다.
깊어지는 겨울. 일터에서 일하는 노인들의 안전대책을 마련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