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사는 28%
택배 노동자 사망재해를 분석한 결과 10명 중 7명은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무상 관련 시 통상적으로 과로사에 해당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최근 제출받은 2017년 이후 택배업 사망재해 현황에 따르면 2017~2019년 택배업 사망재해는 8건이었는데 동기간인 2020~2022년 사망재해는 33건에 달해 4배 이상 폭증했다.
지난해와 올해 8월까지도 15건의 사망재해가 승인됐다. 특히 질병 사망은 대부분 뇌혈관질환 또는 심장질환으로 인해 발생했다. 2017년부터 8년간 39명의 택배업 노동자가 과로사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3건 중 1건에 가까운 사고사(28%)였다.
김 의원은 “특히 사고사보다 과로로 인한 사망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은 그만큼 택배 업무의 노동강도가 높고 신체에 무리를 일으킬 위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심야노동과 맞물릴 경우 그 위험성은 더 높아지므로 택배노동자의 장시간, 심야노동은 더욱 철저하게 예방하고 감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택배업사망재해
정민혁 기자
jmin8997@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