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5%는 시멘트에 폐기물이 투입되는지 전혀 몰라”

광주 서구 붕괴사고 불량 콘크리트 사용 의혹 등으로 건축 재료인 시멘트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노웅래 의원이 “시멘트 제품에 폐기물이 투입되는지 국민이 대부분 모른다”며 “관리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노웅래 의원(민주연구원장)은 26일 오전 10시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폐기물 시멘트 성분표시 및 등급제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알리며 이와 같이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폐기물은 물론 인분까지 투입되고 있는 시멘트 제품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책적 대안을 논의키 위해 마련됐다.

/ 노웅래 의원실 제공. 

노 의원의 관련 자료에 따르면 국민의 75%는 시멘트에 폐기물이 투입되는지 전혀 모르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내 폐기물 투입량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5년 5%에서 2020년 17%로 지속 증가 추세에 있었다. 국민의 90%(86.7%) 가까이는 폐기물이 투입되는 시멘트 제품의 성분표시와 등급제 도입을 원한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앞서 노웅래 의원실이 이와 관련해 환경부에 ‘시멘트 제품을 재활용 제품으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환경부의 입장과 답변 근거’를 물은 결과 환경부는 ‘국민의 안전과 작업자 건강 관점에서 관리 강화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했다.

국민안전과 작업자 건강을 위해 시멘트 안전관리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한 입장을 물은 결과에도 환경부는 ‘고용노동부(산업안전), 산업통상자원부와 안전관리 수준을 협의해 자율 기준의 강화와 항목 확대를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토론회에는 노 의원과 강훈식 의원, 국회입법조사처,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환경재단, 한국여성소비자연합이 함께 하고 구자건 전 연세대학교 교수, 최병성 전국시멘트대책위원회 상임대표가 ‘폐기물 시멘트로부터 국민안전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제로 발제를 맡는다.

토론은 김승호 전 강원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김동환 환경국제전략연구소 소장, 추태호 부산대학교 교수, 김영선 더불어민주당 수석전문위원, 김경민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홍동곤 환경부 자원순환국장, 이경훈 산업통상자원부 철강세라믹과 과장이 참여한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