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수준의 사업장 안전관리체계 확립을 위해 최근 자율안전관리를 통한 안전문화 구축이 안전분야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정부 당국은 정체된 재해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내리기 위해서는 법을 통해 강제하는 타율적인 안전관리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고 보고 사업장 스스로 필요에 의해 전개되는 자율안전관리 정착을 유도 중이다.건강하고 안전한 사업장 구현은 노사 공통의 목표다.사업장 안전관리는 인간존중의 실천이라는 거창한 표현을 쓰지 않더라도 근로자는 재해의 위험에서 벗어나 좋고 사업주는 생산능률을 높이고 인적 자원을 보존할 수 있어 좋은 윈윈전략이다.하지만 우리 사회의 사업장 안전관리는 아직 법적 규제를 벗어나기 위한 형식에 그치고 있다.사업장 안전관리를 통해 얻는 이익이 불분명하다고 생각하는지, 아니면 수동적인 안전관리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인지 아직 많은 수의 사업장이 수동적인 안전관리를 택하고 있다.세계 10대 경제 강국이자 서울선언서 채택을 주도한 대한민국의 안전 현실이 이 정도라니 참으로 안타깝다.이제는 사업장 안전도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야 한다.그 전환점은 새로운 안전관리기법의 보급을 통해서가 아니라 노사 인식의 변화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송자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안전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이며 “반복교육을 통해 습관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사업장 안전관리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화려한 안전관리기법이나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사업장 안전관리의 주체인 근로자와 사업주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뜻일 것이다.우리의 현실을 냉정하게 반성해 보자.10년째 정체돼 있는 재해감소율은 무엇 때문일까.효과적인 안전관리 기법이 없었고 법적 제도가 미비했기 때문이 아니라 바로 내 자신, 내 사업장의 인식의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 아닌가 안전인 모두 반성해 보자.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