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달인 5월의 시작과 함께 때이른 한여름 무더위가 찾아왔다. 평년 기온이라는 통계가 무색하게 남부지방의 기온은 이미 30도에 육박하고 있다.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하던 대한민국이 이제는 여름과 따뜻한 겨울만 남은 듯 느껴진다. 과도한 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파괴가 예전에는 볼 수 없던 기상이변, 아니 어쩌면 이제 익숙한 기상변화로 나타나고 있다. 조만간 서울지역의 눈 내리는 크리스마스는 오래된 영화나 사진 속의 기억으로 남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기상이변으로 사회 각 부분의 안전관리도 취약해졌다. 초봄부터 장마철 전까지 건설현장은 가장 바쁘게 돌아가는 시기지만 이미 시작된 무더위로 현장 안전관리자들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혹시나 근로자들이 일사병에 걸릴까, 집중력이 낮아져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여름철 안전대책을 이미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고 한다.학교와 공공시설도 긴장하고 있다. 때이른 더위로 그 어느 때보다 식중독 사고 위험성이 높아졌으며 야외활동으로 인한 사고도 예상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신종 전염병의 대유행까지도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자연재해를 담당하는 정부기관 관계자의 얼굴도 즐겁지만은 않다. 해가 가면 갈수록 강도와 세기가 증가하는 태풍, 호우, 한파, 폭염, 황사 등 각종 자연재해로 밤잠을 설친 지 오래인 이들은 최근 계속되는 5월의 폭염을 올 여름 다가올 대형 자연재난의 예고편으로 생각하고 있다.우리 주변의 안전환경은 점차 나빠지고 있다. 과거보다 더 자주, 더 큰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이쯤이면 충분하다는 생각은 머리에서 지우자. 이미 과거의 통계를 무시하는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정부당국은 국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과거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한발 앞선 여름철 안전대책을 수립·시행해야 하며 각종 방재시설의 기준을 상향해야 한다.고위험의 시대가 도래했다면 응당 고강도의 안전대책이 마련되는 것이 이치이자 순리다.사업장에서도 형식적인 안전관리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변화되는 안전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현장안전관리를 수시로 업그레이드하는 모습이 없다면 대형재해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것이다. 5월에 맞은 한여름 더위,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