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고시원에서 화마로 귀중한 생명 7명을 앗아갔다.    지난달 25일 용인 고시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일용직 근로자나 고시생, 자취생들의 보금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고시원이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것을 또다시 증명했다.     화재가 발생한 경기도 용인 고시원은 6.6㎡(2평)이 채 안되는 70여개의 방이 벌집처럼 붙어 있는 구조였으며 복도의 폭이 1m를 조금 넘을 정도로 좁고 미로형으로 돼 있는데다 새벽 시간이라 사상자들이 당황해 미처 대피하지 못해 대형참사로 이어졌다.   특히 에어컨 가동으로 창문이 모두 닫혀 있어 환기조차 이뤄지지 않다 보니 피해가 더 커졌다는 후문이다.   다닥다닥 붙어있는 벌집구조의 좁은 방들, 미로 같은 복도, 빛도 들어오지 않는 어두운 공간 등등 고시원을 대표하는 단어들은 안전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서민들의 고단한 삶을 대변한다.   7명의 생명을 앗아간 용인 고시원과 같이 안전에 취약한 고시원은 이미 전국에 수천, 수만개가 성업 중이다.    이중 상당수가 제대로 작동되는 소화기 하나 제대로 비치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보니 어쩌면 이같은 대형참사는 되풀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006년 7월 20여명의 사상자를 냈던 서울 송파구 고시원 화재 당시 정부는 관련법을 개정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지만 동종 참사를 막을 수 없었다.   근본적인 안전대책은 마련되지 못하고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보니 결국 사고로 이어진 셈이다.     소방당국도 어려움을 호소한다.   일부 럭셔리 고시원의 경우 소방시설이 잘 돼 있지만 서민형 고시원의 경우 소방시설은 물론 기본적인 생활시설도 열악한 것이 현실이고 좀 더 싼 시설을 찾는 이들이 이들 시설을 이용하다 보니 계속되는 악순환이 지속된다.   결국 이번 화재참사는 사회적 약자들이 안전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고시원 문제 뿐아니라 최근 불거지고 있는 식품안전, 산업현장의 재해, 교통사고 등의 현실도 비슷하다.   웰빙식품을 소비할 수 없고 공사현장에서 일용근로자로 일하고 있는 서민들은 더 많은 위험에 노출돼 있다.   정부의 가장 큰 책무는 국민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며 이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일의 시작일 것이다.   고시원 화마를 분석할 때 ‘안전을 지키는 일’은 어느 무엇보다 중요한 일임을 정부 당국자들은 다시 한번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