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상징적인 존재이다. 그런데 화재로 완전 소실됐다고 하니 “문화재를 이렇게 허술하게 관리할 수 있는가?” 하는 자괴감이 든다. 이는 결국 국민들에게 국가적인 수치감을 안겨준 크나큰 사건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문화재 당국은 “문화재 내부에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시설을 설치하면 문화재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고 숭례문이 서울 시내 한 가운데 있어서 1분 내에 소방서 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를 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   더욱이 소방당국이 조기 진화에 실패한 이유도 문화재의 특징을 이해하지 못한데 있다고 한다. 즉 불이 붙은 2층 누각은 적심부분인데 이 적심부분 위쪽에는 ‘강회다짐’이라는 방수벽이 가로놓여 있다. 아래에서 아무리 물을 침투하려고 해도 할 수 없도록 만든 내장재라는 것이다. 소방관은 이것도 모르고 화재 발생 40여 분만에 훈소상태(연기만 나는 상태)여서 불이 잡힌 것으로 판단, 화재를 키운 결과가 됐다.   2005년 낙산사 화재로 이미 보물 479호인 낙산사 동종이 소실됐다. 그 후 문화재청은 목조문화재가 화재로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방재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7년 1차로 해인사, 봉정사 등 수막설비와 경보시설을 설치했다고 한다. 그런데 또 다시 국보 1호인 숭례문마저 태운 것은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겠는가?  방재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가장 선결돼야 할 문제는 위험에 대한 감지능력이다. 또 다시 화재가 일어나기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소지를 충분히 파악해 이에 대비해야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기본도 모르고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도대체 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지는 방재시스템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대비하는 준비도 없이 임기응변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하니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안전에서 가장 먼저 선결돼야 할 과제는 위험에 대한 감지능력이다. 화재위험에 대한 충분한 감지를 통해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화재가 발생됐을 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위험에 대한 감지능력을 키워 나가는 노력이 바로 안전의 첫걸음임을 인식해야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