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 국가 정책수립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자료인 통계가 원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전문가들과 함께 107개 국가승인 통계의 품질을 진단한 결과 모두 641건의 개선 사항이 지적됐다. 한 마디로 엉터리 통계가 국가승인 통계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지적 내용을 보면 자료 세분화 및 심층 분석 부족으로 활용 편리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20%, 모집단 및 표본관리 부실이 8%, 작성지침 등 관련 문서화 미흡이 7.5%로 조사됐다. 또 통계 대상의 정의가 뚜렷하지 않고 각 기관별로 달라 신뢰성과 통계간 교류 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밖에도 통계의 공표 일정이 사전 예고되는 않는 점, 국가간 비교 통계 제공이 미흡한 점, 조사개요, 방법, 품질상태 등 해당 통계의 배경 정보가 부족한 점 등도 개선 사항으로 꼽혔고 사회변화에 따른 새로운 통계의 개발도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이용자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점으로 낮게 조사됐다. 안전전문가들은 안전분야의 통계도 문제가 많다고 지적한다. 대표적으로 산업재해율의 경우는 산재예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자 목표로 활용되고 있지만 산재보험을 통해 산출하는 다소 현실과 차이 있는 방식을 지금까지 사용중이다. 때문에 산업현장의 안전수준을 정확하게 표현한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노동부는 이같은 문제점을 인식, 산재통계제도의 개편을 예고하고 있다. 현장의 산재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대처해나가자는 첫 발걸음은 다소 늦은 바 있고 미흡한 점이 있지만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사실 노동부로써 산재통계의 개편은 하나의 모험이다. 어쩌면 지금까지 숨겨온 치부를 그대로 드러낼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세운 산재감소목표를 전면 수정해야 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유야무야 넘어가던 산재은폐의 노출, 산재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른 산재보험기금의 고갈까지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어차피 대한민국이 안전선진국으로 진입하려면 언젠가는 한번 겪어야 할 홍역이다. 처음 의도한 대로 국가 산업재해의 모습을 왜곡 없이 올바르게 보여줄 새로운 통계산출방식의 탄생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