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의료상담·출동·처치·이송병원 선정까지… 병원·약국 안내 등 단순 업무는 모바일 앱 보급 등으로 감소

/ 안전신문 자료사진.
/ 안전신문 자료사진.

응급환자 발생 시 신고접수부터 의료상담, 출동, 응급처치까지 전담하는 ‘원스톱’ 119구급서비스가 심정지환자의 소생률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119와 1339 통합 이후 ‘원스톱’ 119구급서비스가 응급환자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다고 29일 밝혔다.

이원화 된 응급의료 신고전화가 위급 상황 시 국민들의 혼선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2011년 12월 정부는 보건복지부 운영 ‘1339’와 소방 운영 ‘119’의 기능을 통합키로 결정한 바 있다.

이후 2012년 6월 ‘1339’는 ‘119’로 이관됐고 응급환자 발생부터 구급차 호출, 의료지도 및 병상정보 확인, 이송까지의 전 과정을 단일 시스템으로 구축해 원스톱(One-Stop)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됐다.

원스톱 서비스 시행 이후 응급환자의 생존율이 크게 높아졌다. 소방청 구급통계자료에 따르면 통합 이후 심정지 환자 소생률은 2013년 4.0%에서 올해 11월 기준 10.9%로 획기적으로 향상됐다.

이는 구급대 3인 탑승률 증가, 펌뷸런스를 비롯한 다중출동체계 구축 등 요인 외에도 통합 이후 설치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심정지 환자 신고접수 시 119구급상황관리센터 소속 구급지도의사 등 전문상담요원은 유선 또는 영상으로 119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신고자가 신속하게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지도·안내한다.

병원·약국안내 등 단순 안내 업무는 모바일 앱 보급 등으로 감소했고 의료상담·응급처치 지도 등은 두 배 가량 증가했다.

이는 통합 당시 1339 의료상담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는 4.6%에 불과했지만 업무 이관 이후 ‘119응급의료상담서비스’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인지도를 향상시킨 결과이며 앞으로도 소방은 119의료상담서비스의 적극 홍보를 통해 비응급환자 이송을 최소화하고 국민 편의를 높이기 위해 관련 예산 확보 및 정책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 소방청은 최근 2년간 수용곤란고지협의체(소방-보건복지부-응급의학회-환자단체-법률단체 등) 운영을 통해 중증응급환자인 경우 의료기관의 수용곤란 고지에도 불구하고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이송병원을 선정해 긴급이송 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며 응급환자 이송 지연 문제 해결과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해 내년부터 119구급대와 병원 간 중증도 분류 체계(Pre-KTAS)를 일치시키는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방청은 현재 ‘중증응급환자 병원 이송체계 개선’을 국정과제로 추진 중이며 앞으로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전원조정지원·이송 업무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김태한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병원 전 단계 중증도 분류체계 도입과 더불어 119구급대가 이송하는 응급환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의료기관에 전송해 수용 의뢰까지 동시에 수행하는 119구급스마트서비스 본격 시행도 준비 중에 있다”며 “119구급대의 병원 수용률 제고를 통해 이송 지연으로 환자의 생명이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소방 차원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