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확진자 발생시 즉시 소독 등 철저한 대응 방침 밝혀

전 역사에서 하루 4회씩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 사진 = 서울시 제공.

일평균 약 730만명이 이용하고 있는 서울 지하철 내 코로나19 전파를 막기 위해 매일 2300여명이 3700여회에 달하는 방역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통공사는 1월 27일 감염병 위기경보 ‘경계’단계가 발령된 이후 매일 역사·전동차의 모든 시설물을 철저히 소독했고 전체 방역횟수가 37만회를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공사는 1~8호선 278개 전 역사의 고객 접점 개소(에스컬레이터 손잡이·교통카드 발매기 등 주요 시설물)는 출·퇴근시간대 2회를 포함해 하루 4회, 화장실은 하루 2회 등 매일 꾸준히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회차·기지 입고시 전동차를 꼼꼼히 방역소독 중이다 / 사진 = 서울시 제공.

전동차 내 방역도 계속 시행되고 있다. 방역복을 입은 직원들이 전동차 회차시마다 초미립분무기로 객실 내를 소독하고 손 접촉이 많은 손잡이와 의자 옆 안전봉을 깨끗이 닦아낸다. 전동차가 기지로 입고될 때마다 승객이 앉은 의자를 고온 스팀청소기로 말끔히 닦아내는 작업도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실시된 전체 방역횟수는 역사 내 방역 21만 1732회, 전동차 내 방역 16만 1461회다. 지하철 내에서 시행된 방역을 전부 합치면 37만 3193회로 일평균 3700여회가 실시된 셈이다.

투입되는 인원과 물량도 상당하다. 역사 방역소독은 매일 1724명, 기지 내 전동차 방역소독은 556명이 근무 중이다. 방호복 또한 매일 41개씩 소비되고 있다. 소독제 원액은 매일 73.6L(역사 20.6L·전동차 53L)가 투입되는데 원액과 물을 1:200 비율로 섞어 희석해 사용하고 있으니 매일 1만 5000L에 가까운 소독제를 사용 중인 셈이다.

3월 9일 구로 코리아빌딩 콜센터, 5월 6일 이태원 클럽·27일 물류센터 내 집단감염 사태 등으로 인한 외부 확진자가 다수 발생했을 때에도 확인된 지하철 내 모든 경로에 방역소독을 실시했다.

공사가 운영하는 노선인 1~8호선 외에도 우이신설선·9호선 등 수도권 전철 내 확진자 이동경로가 파악될 경우에는 전 경로에 방역소독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동종 운영기관과 협력해 대응 중이다.

확진자의 지하철 탑승을 개찰구 통과 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차역이나 버스터미널과 인접해 수도권 외 유입인구가 많은 주요 역사에는 열화상카메라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또 외부 확진자가 지하철을 타고 이동했다는 사실이 확인됐을 경우 즉시 자체방역을 실시하고 필요할 경우 관할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등과 연계해 추가 조치도 시행하고 있다.

더불어 지하철 내 코로나 확산을 방지키 위해 공사는 서울시와 함께 지난달 13일부터 혼잡시 마스크 미착용자의 지하철 이용을 제한하는 방침을 실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코로나 감염을 막기 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왔다. 고객과 직접 접하는 직원들을 위해서는 1회용 방역복을 지급하고 근무공간에 아크릴 투명 가림막을 설치하는 등 감염 보호대책을 세웠다.

특히 지하철 운행을 총괄하는 종합관제센터에 근무하는 직원들과 전동차를 운전하는 승무원들이 감염될 경우 지하철 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감염 방지대책에 더욱 만전을 기하고 있다.

본사 등은 업무공간을 분리해 확진자가 발생하더라도 업무를 지속할 수 있도록 대처하고 직원 구내식당은 식사시간을 나누고 서로 떨어져 앉도록 했다. 매일 오전·오후 체온측정도 2회 실시 중이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다행히 현재까지 직원 내 확진자는 발생치 않은 상태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장은 “모든 직원들의 확진 방지를 위한 노력과 청소·방역직원들의 헌신적인 노동이 있어 서울 지하철이 현재까지 코로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었다”며 “지하철이 ‘코로나 청정구역’으로 자리 잡는 그날까지 한치의 방심 없이 코로나에 맞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