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1년은 강력한 국민안전정책을 제시하는 것으로 일관했다.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느끼는 국민은 얼마 되지 않는다며 일찍이 국민안전을 지키기 위한 치안 개선 공약을 내 놓았고, 경찰도 민생 중심의 국민 경찰로 되돌려 지역주민의 안전과 치안에 전념할 수 있게 하겠다고 했다.

민생치안 역량을 대폭 강화하여 범죄로부터 안전한 나라를 만들고, 소방청의 현장대응능력을 강화하는가 하면 해양경찰의 역할을 재정립해 해양안전을 확보하겠다고 했다.

이 중에서 소방청의 역할은 확실히 강화됐다는 평을 들을 만하다. 그럼에도 화재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화재의 대응에 있어서는 확실히 개선된 능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화재 예방 쪽에 더 향상이 있어야 할 것이다.

안 그래도 이번 6월은 북미회담을 비롯하여 지방선거 등의 중대 이슈로 안전이 뒤로 밀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없지 않았다.

새 수장들을 뽑을 때는 앞으로 보다 주민안전, 생활안전이 강화되는 지역에서 살게 된다는 희망을 갖는 것만으로도 우리 삶의 질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리라는 기대를 가져본다.

그러나 지역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금 우리가 안전한 곳에서 살고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는 것이다. 그간 우리가 수없이 자문해온 항목이다.

요즘 세상엔 모르는 이가 찾아와 방문벨을 누르면 문을 열어줘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혹시 무슨 일이 생길가봐 걱정이 돼서 그렇다. 예컨대 가스검침의 경우 문을 열어주는 것이 당연한데 그래도 100% 믿음이 안가니 망설여지고 불안해 진다.

이런 자질구레한 듯하면서도 실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주민불안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뜨거운 선거 끝에 여러 지자체의 수장들이 새로 등장하니 만치 지역마다 안전을 최고의 가치로 하는, 참으로 주민안전을 책임지고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새 지자체의 역할을 다해 주기 바란다.

지자체들은 저마다 실행과 실적으로 안전최우선을 확인해줘야 한다.

지역에 따라 주민을 지키는데 소홀했던 곳도 있을 것이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아주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지도 못한 곳도 여러 곳이다. 아쉬운 국면이 없지 않다.

지역마다 안전이 앞에 나서면서 이제 안전불감증이란 용어가 사라지도록 해야 한다. 도대체 안전불감증이 무엇인가.

소를 잃고서도 외양간을 고치지 않고 있는 우리의 현실이 안전불감증을 키운다. 안전한 내 고장을 만들려면 이제 안전불감증이나 탓하는 구태를 벗어야 한다. 예방문화의 정착만이 그 정답이다. 새 수장을 맞은 지자체들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이다. 안전을 앞에 내 세우는 곳에 더 신뢰가 가기 마련이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