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때부터인가 AI,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상징하는 키워드들이 낯설지 않다.

먹고 마시는 식품, 입는 옷, 휴식을 취하는 집 등 의식주는 물론 사회활동이나 여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제품과 기술에도 이러한 키워드가 하나쯤 들어가야 첨단 제품으로 인정받는 분위기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산업안전분야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중이다.

최근 한 건설사는 첨단 스마트 안전기술로 중무장한 4족 보행 로봇을 건설현장에 적용했다. 

360도 카메라, 사물인터넷 센서 등을 탑재한 이 로봇은 건설현장 구석구석을 누비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요소를 체크한다. 이 정보를 기초로 건설사는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등 사람이 하나하나 확인해야 할 일들을 로봇이 대신해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고 있다.

또 다른 건설사는 안면인식출입 시스템을 도입했다. 코로나19 확산처럼 감염병 위기 사태를 해결할 예방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 시스템은 체온 측정과 올바른 마스크 착용 같은 단순한 업무뿐 아니라 사전에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입자들의 안면을 인식, 건강상태나 출입이력 등을 꼼꼼히 확인한다.

석유화학공장에서는 유해가스와 화재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전달하는 무인순찰차량을 도입하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 차량에는 정밀 GPS, 유해가스 감지센서, 열화상 카메라 등이 구비돼 있으며 자율주행기술로 24시간 공장 전체를 순찰한다. 영화와도 같은 이 장면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이제 현실의 안전관리 장면으로 전환됐다.

하지만 2021년 대한민국의 산업안전은 우리의 기대와 생각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 많다. 

아직도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성 재해로 한해 8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사망자의 절반 이상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래형 재해로 목숨을 잃고 있다.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이 진행 중인 바로 지금 산업현장의 사망사고 원인의 1, 2위는 재래형 사고의 대표 유형인 추락과 충돌이다.

또 고용노동부에서 진행하는 건설현장에 대한 각종 점검과 감독에서는 점검 대상의 90%에 가까운 건설현장이 법을 위반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즉 대한민국의 산업현장은 최첨단 안전관리와 재래형 사망재해가 다발하는 무법지대가 공존하고 있다.

정부 당국은 이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야 한다. 어떤 이유에서 이같은 안전 격차가 존재하는지, 정부의 정책이 왜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지 하나하나 따져봐야 한다.

아울러 최신 기술을 어떻게 적용해 현장의 근로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일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