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물류센터 노동자 사망… 과로 예방 대책 촉구돼
화성시 쿠팡동탄1센터 식당서 30대 노동자 쓰러져 숨져 민주당 “쿠팡, 숨지 말고 과로 예방 대책을 직접 내놔야” 진보당 “노동자 목숨 값으로 배불린 쿠팡, 이제는 답해야”
최근 경기 화성시 소재 쿠팡동탄1센터 내 식당서 노동자가 쓰러져 사망한 것에 대해 쿠팡을 향한 과로 예방 대책이 촉구됐다.
당국 등에 따르면 21일 오후 10시30분께 경기 화성시 소재 쿠팡동탄1센터 내 식당서 노동자가 쓰러져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
계약직 근로자였던 고인은 단순 포장 관련 업무를 맡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사망 당일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새벽 4시까지 야간 근무를 하는 것으로 예정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공보국은 이에 대해 “쿠팡의 산업재해율은 한국 평균의 10배, 건설업보다도 높은 수준”이라며 “밤샘 노동, 3회전 반복 배송, 프레시백과 소분·분류작업까지 노동자에게 떠넘긴 구조”라고 지적했다.
또 “쿠팡은 언제나 ‘지병이었다’, ‘외부업체 소속이라 관여할 수 없다’는 변명만 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물류센터, 배송 차량, 화장실, 퇴근길, 심지어 집 욕실에서까지 쿠팡 노동자들이 쓰러져 갔다”고 직격했다.
산재 신청을 하면 재계약을 끊는 감점 시스템 때문에 10명 중 6명은 산재 신청조차 못 한다는 증언도 이어졌다는 것도 민주당은 지적했다.
특히 “쿠팡은 노노갈등과 소비자 프레임 뒤에 숨지 말고 사회적 합의 이행과 과로 예방 대책을 직접 내놓으라”고 민주당 측은 밝혔다.
진보당도 이날 사고에 대해 “고인은 지난 1년 넘도록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야간조에서 고정근무를 이어왔다. 고인이 맡았던 ‘워터업무’는 물류센터 내 물품 및 상자를 관리, 정리, 이동, 분류 등 신속한 포장을 돕기 위한 부수적인 일로 업무 강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이번 죽음에 대해서도 쿠팡은 ‘고인의 지병’을 운운하며 무책임한 행태를 보였다”면서 “쿠팡은 어렵게 구성된 제3차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도 죽음의 배송시스템은 논의 안건에서 배제하자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했다.
쿠팡에 제3차 택배 사회적기구에서 야간노동에 대한 책임있는 방안을 내놓으라고 한 진보당 측은 “이미 택배노조는 주간 근무시간을 주간 60시간, 야간 46시간으로 제한, 주 5일근무 제도화 및 휴일, 새벽 배송에 대한 제한, 배송마감시간 완화 등 배송마감시간 제도 개선 등 죽지 않고 일할 수 있는 다양한 제안을 제시하고 있다”면서 “노동자의 목숨 값으로 배불린 쿠팡이 이제는 답할 차례”라고 주장했다.
한편 국내 물류업계 ‘공룡’인 쿠팡의 노동 문제는 정쟁화된 상황이란 얘기도 나온다. 관련해 지난 9월 쿠팡물류센터서 알바를 한 후기를 알렸던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에도 “경력이 쌓여도 시급이 오르지 않고 생계가 급한 사람들이 ‘선택’ 아닌 ‘강요된 선택’을 하게 되는 새벽 배송과 물류 센터 노동”이라면서 “낮에 일하든 밤에 일하든 개인의 선택이지라고 말하기 전에 우리는 그 선택이 실제로는 구조가 만든 비자발적 선택은 아닌지 질문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