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포스코’ 포항제철소서 노동자 6명 가스 흡입 재해 발생
슬러지 청소 작업 중 발생
또 포스코 포항제철소서 질식 재해가 났다. 회사 회장 직속 그룹안전특별진단 TF를 가동과 전사적 안전 진단을 표명한 게 무색할 지경이다.
20일 당국에 따르면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서 슬러지 청소작업을 하던 노동자 6명이 가스(일산화탄소 추정)를 흡입해 3명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고 나머지 노동자들도 부상을 입었다.
또 질식 재해다. 이달 5일 포항제철소에서 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발생해 노동자 1명이 사망한 것에 이은 경우다. 당시 스테인리스 압연부 소둔산세공장에서 유해 화학 물질에 노출된 노동자 1명이 숨졌고 3명이 부상을 입은 것이다.
이번 사고는 일산화탄소에 의한 재해로 알려지고 있다. 이달 5일 질식 재해의 경우 직경 2.5cm 배관이 파손돼 불산·질산 혼합액이 누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불산은 강한 부식성과 독성을 가진 고위험 물질로 알려져 있다.
포스코는 산재 대처도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노동계에 의하면 이달 5일 사고는 사업장이 아닌 병원에서 경찰에 신고하면서 뒤늦게 알려졌고 소방당국이 사고 현장에 도착한 시점은 사고 이후 2시간이 지난 시점이었다.
사고 발생 즉시 가동돼야 할 비상대응체계가 작동하지 않았고 초기 대응이 지연되며 피해 확대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고와 관련해 법적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고 화학물질 사고임에도 이를 은폐 및 축소의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는 포스코 포항제철소 내 질식 재해만 나타낸 것이다. 건설사(계열사)인 포스코이앤씨까지 범위를 넓히면 포스코그룹 내서 중대재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잇단 포스코 사고에 포스코 수뇌부 대상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사고가 1명 사망이나 부상자 2명 이상 6개월 이상 치료 필요 케이스로 나타날 경우 중처법 적용 대상이다.
포스코는 이재명 대통령이 올 7월 중대재해 심각 문제로 가리킬 정도의 그룹사다.
거센 비판에 포스코는 전사적 안전혁신 로드맵을 제시하면서 모든 자원과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선언했고 CEO 직속 TF 신설을 예고했으며 장인화 회장 직속인 그룹안전특별진단TF 출범까지 했지만 이번에 또 사고가 났다. 장 회장 책임론에 힘이 실릴 수 있다.
포스코 측은 이날 사고에 관해 “3명의 노동자가 중상을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고 1명은 인공호흡기로 연명하고 있으며 현재 치료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라며 “고용노동부에서 산업안전 위반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사측은 이달 5일 사고에 관해 “포항제철소에서 사고가 난 것은 맞지만 임대부지 업체인 포스코DX서 사고가 난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서도 곧바로 포스코 사고 반응이 나왔다. 국민의힘의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달린 문제인 만큼 경찰과 소방당국은 신속하고 투명하게 사고 경위를 파악하는 데 앞장서주시길 바란다”며 “정부 역시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가용한 모든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