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 어려운 점 묻자 ‘안전관리 업무 증가’ 최다 답변

/ 사진 = PIXABAY. 
/ 사진 = PIXABAY. 

현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장비·기술은 CCTV, 비콘 등 모니터링 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한국주택협회로부터 연구의뢰를 받아 진행, 최근 공개된 설문 결과다. 지난달 11일부터 24일까지 주택협회 회원사 63개사가 설문에 응했다.

응답 기업의 절반이 넘는 57.1%가 모니터링 분야 장비를 전체 현장의 70% 이상에 도입해 활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4.3%는 50~70% 현장에 도입했다고 응답했다.

이들 기업은 스마트 안전장비·기술 중 모니터링 분야를 중점적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적용 중인 현장 비중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CCTV, 비콘, 충돌·협착 방지 등) 87.5%로 나타났다. 대부분 모니터링 분야에서 스마트 안전장비와 기술이 사용된다는 소리다.

이어 통합관제 6.3%, 작업자 보호구·웨어러블 장비(스마트 안전모, 스마트 턱끈 등) 6.3%으로 조사됐다.

스마트 안전장비·기술을 적용키에 어려운 점을 묻자 안전관리 업무 증가가 3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프라 미비로 장비 운용 애로가 26.9%, 안전관리 비용 미반영이 23.1%로 뒤이었다.

비용 문제에 관해 스마트 안전관리 도입의 소요 비용이 사업비에 ‘충분히 반영됨’을 선택한 응답은 15.4%였다. ‘일부 반영됨’ 69.2%, ‘전혀 반영되지 않음’이 15.4%로 스마트 안전관리를 위한 비용이 적절히 계상되지 않고 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스마트 안전관리 비용을 정상적으로 안전관리비·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지출하는 비율은 절반인 50%였다. 부족한 소요 비용에 관해 기업 25%는 본사 지원, 12.5%는 현장관리비, 12.5%는 직접비에서 비용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 안전 장비를 안전관리비에 포함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이미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법적 근거가 마련돼있다. 특히 지난해 정부의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보조·지원 근거도 마련돼 국토부는 300억원 미만의 중소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보조·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올 6월 개정된 노동부의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 기준에 따르면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총액의 1/10 이내를 스마트 안전관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 안전장비 구입 및 임대비용의 20%까지라고 돼있다.

조사를 의뢰한 한국주택협회와 연구원 측은 스마트 안전장비와 기술에 쓰이는 비용을 안전관리비용에 원활, 확대 계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스마트 기술·장비 사용 상세 기준 마련, 스마트 안전관리 우수기업에 인센티브 등을 개선 주장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