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원인으로 지목되는 ‘야생동물’ 관리 사각지대 여전

/ 사진 = 이수진 의원실 공식 홈페이지.  
/ 사진 = 이수진 의원실 공식 홈페이지.  

정부의 야생동물 관련 질병관리를 강화하는 각종 방안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을 통한 개인간 야생동물 매매가 성행해 대책이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6일 밝힌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병 매개 동물인 과일박지나 사향고양이를 온라인으로 매매하는 경우가 다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수진 의원은 “정부가 발표한 입장은 야생동물 소규모 전시, 판매시설에 대한 기준 강화를 추진할 것을 표하고 있지만 인터넷을 통한 개인간 야생동물 매매는 여전히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적으로는 야생동물 중에서 소유와 거래 가능한 종을 지정하는 ‘백색목록제’를 운영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소유제한 목록을 운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며 “개인간 야생동물 매매행위에 대한 관리방안, 야생동물 소유가능 백색리스트 도입이 필요하며 동물원 허가제, 관람객 밀접접촉 제한, 동물감염병 관리강화 등의 관련법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올해 9월 정부는 야생동물 질병의 감시·대응 전문기관으로서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을 출범시켰다. 소관 부처인 환경부는 행정안전부에 야생동물질병관리원 조직을 3과 1센터 52명으로 요청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축소된 3팀 33명만 배정된 상태로 출발했다.

이에 대해 이수진 의원은 “늦었지만 코로나19 시대에 야생동물질병관리원 출범은 매우 의미있으나 중요성에 비해 축소된 조직과 인력으로 제 기능을 하기엔 벅찰 것으로 보인다”며 “인수공통감염병 관리 강화를 위해 환경부가 행안부를 적극 설득해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의 조직과 역할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