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외상센터 개소 및 정부의 집중적 지원 영향

전국 권역 외상센터 분포 (17개소) / 사진 = 보건복지부 제공.

전국적으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데에는 중증외상환자 치료에 특화된 권역외상센터 개소와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전국단위 외상으로 사망한 환자 사례를 조사연구한 결과 2017년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외상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 중 적절한 시간 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망자의 비율)’이 19.9%로 2년 만에 10.6%가 감소(2015년 30.5%)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조사연구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2017년에 중앙응급의료센터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에 등록된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 중 총 1232명을 표본 추출해 진행됐으며 그 결과 모든 권역에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주, 전라, 제주 권역의 경우 2015년 40.7%에서 2017년 25.9%로 14.8% 낮아져 가장 큰 개선을 보였다.

다만 현재 권역외상센터 개소를 준비하고 있는 서울 권역의 경우 2015년 30.8%에서 30.2%로 0.6% 개선에 그쳤다.

그 외 인천·경기 권역 16.7%(10.7% 감소), 부산·대구·울산·경상 권역 16%(13.4% 감소), 대전·충청·강원 권역 15%(11% 감소) 등 대부분 권역에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최소 10.7%에서 최대 15%까지 낮아졌다.

다른 병원을 거치지 않고 권역외상센터에 직접 찾아간 경우 사망률은 15.5%로 다른 병원을 한번 거쳐서 도착했을 때 31.1%, 두번 이상 다른 병원을 거쳤을 때 40%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또 119 구급차로 내원한 경우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5.6%로 다른 이송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 개선 요인으로는 중증외상환자 치료에 특화된 권역외상센터 확충(20개소→41개소), 중증도에 따른 적정 이송, 전담인력 인건비 등 운영비 지원 및 외상수가 신설 등이 꼽혔다.

타 지역에 비해 의료자원이 많고 의료접근성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서울 권역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 개선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에는 서울시에 중증외상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적정규모의 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크게 개선된 것은 무엇보다 권역외상센터 의료진을 비롯한 여러 응급의료종사자 분들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환자 치료에 최선을 다해준 덕분”이라며 “상대적으로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도 필요자원을 집중 지원·육성하고 지역 내 협력체계를 갖추면 양질의 의료기반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니 서울시와 협력해 조속한 시일 내 서울지역 외상진료 기반도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