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까지 2조7087억 투입, 거미줄 같은 시설물 안전 확보

/ 사진 =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거미줄 같이 얽혀 있는 지하시설물의 안전을 위해 통합적 안전관리로 전환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5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날 업무협약에는 ▴KT(황창규 대표이사) ▴한국전력공사(김종갑 사장) ▴한국가스공사(채희봉 사장) ▴한국수자원공사(곽수동 부사장) ▴한국지역난방공사(이경실 부사장) 등 5개 대표기관이 참여했다.

협약에 따라 서울시는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를 발족하고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으로 각 기관별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할 공동(空同)조사를 서울시가 전담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또 기관간 합동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복합재난에 대한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구축해 재난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한다.

기존 도심에 전력, 통신, 상수도를 공동 수용하는 소형 공동구 설치방안을 검토한다.

이를 위한 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도 2020년까지 수립한다.

더 나아가 GTX 등 대규모 지하개발이 급증하는 가운데 지하개발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착수한다.

아울러 지하시설물 노후화와 관련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시스템을 연내 개발하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 관리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이와 관련해 은평 공동구에 24시간 순찰이 가능한 지능형 궤도주행 로봇을 연말까지 설치 완료해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이같은 지하시설물의 통합적‧선제적 안전관리를 골자로 하는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대책을 위해 2023년까지 총 2조7087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과 지하철 같은 도시기능에 필수적인 수많은 지하시설물이 묻혀 있으며 그 규모만 해도 총연장 5만2697km로 지구를 1.3바퀴 돌 수 있다.

이같은 방대한 규모에도 불구하고 지하시설물의 관리주체가 제각각이라 각 주체가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 매설할 뿐아니라 안전관리 역시 여러 기관·기업에서 제각각 이뤄지다보니 제대로 된 현황 파악조차 어려웠다.

실제로 이같은 문제점 때문에 아현동 통신구 화재, 목동 열수송관 파열에 이어 최근 문래동 수돗물 혼탁수 문제 같이 지하시설물의 노후‧과밀화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같은 대규모 지하개발로 인한 사고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합적인 관리가 꼭 필요하다는 것이 서울시의 입장이다.

박원순 시장은 “지하시설물은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복합재난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예방활동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서울의 지하시설물 중 절반 이상은 서울시 이외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바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통합관리하고 각 기관과 협력해 서울의 지하안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