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협력사를 위한 환경안전분야 전문 교육시설로 환경안전 아카데미를 개장했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삼성전자 환경안전 아카데미는 DS부문 협력사 직원들의 건강 환경관리를 위한 것으로 기흥·화성사업장 인근 건물에 5개층 규모의 강의시설을 마련했다.

여기서는 DS부문 1~3차 2300여 협력사 임직원 14만명에 개방되는데 연간 20만명의 교육이 가능하다고 한다. 강의실과 VR체험장, 근골격센터, 휴게공간 등을 갖춰 전문가의 강의와 체험형 교육을 함께 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산업 종사자들에게는 환경관리와 안전 의식개선이 필요한데 그 주문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시설을 개설한 것은 아주 잘한 일이다.

협력사의 안전을 책임지는 바람이 일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반도체를 다루는 삼성전자 공장은 협력사 근로자의 직업병 발생으로 골머리를 앓아 왔다. 삼성은 그들의 작업환경측정 결과 보고서를 갖고 있고 이는 규정된 절차에 따라 고용노동부에 보고된다.

그렇다면 이 작업환경측정 결과 보고서는 어떤 정보인가. 노동자 건강보호와 직업병 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작업환경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담은 보고서이다.  안전과 건강에 관련된 정보인 것이다.

하지만 업계측 입장에서 보면 이 자료를 통해 영업비밀이 유출될 수 있다고 해 공개를 꺼린다. 외국 경쟁업체들이 이 정보들을 조합해 핵심기술을 캐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충조건에서 딜레마가 생긴다.

사업주들이 사용 화학물질의 이름과 그 건강영향을 사전에 알려주지 않고 그냥 일을 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독성물질에 대한 안전보건정보는 결코 비밀이 돼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는 것이다. 노동자, 시민사회측에서는 삼성의 영업 이익에 어느 정도 영향을 초래하더라도 건강권과 생명권의 기초가 되는 알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더 정당하다는 주장을 해왔다.

전자산업 하청 노동자들, 그러니까 반도체 혁력사 직원들도 입을 모아 증언하고 있는 중요한 사실은 이들의 건강과 생명, 인간다운 삶을 침해하는 노동·환경문제 제기가 결코 어제, 오늘의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기업의 그림자에 가려 보이지 않았을 뿐이라는 점이다.

다만 그 사실을 모아 세상에 알리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조직적인 힘이 없었기에 마치 새로운 것처럼 보일 뿐이다.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그런데 이번에 삼성측에서 협력사 직원의 건강·환경을 지키는데 앞장서겠다며 상당한 투자를 한 것이다. 이 선제적 투자가 정보 유출의 근원을 사전에 막고 일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이를 일석이조라 하지 않겠는가. 원하청 상생협력 모범사례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