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의 방산시설에서 또 대형폭발사고가 났다. 한화그룹은 지난 18일 주요 아침신문들 1면에 폭발사망사고 사과광고를 냈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해에도 폭발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지난 14일 한화 대전공장에서 또 안전관리를 소홀로 인한 폭발사고로 20대 청년 2명과 30대 가장 1명이 사망했다.

그렇다면 이같은 대형 사업장에서 왜 안전소홀이란 소리가 나오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 폭발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곳이니 조심에 조심을 더해야 할 곳이 ‘안전소홀’ 지대라니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지난해 폭발사고 이후 1년이 채 안돼 대형 폭발참사를 되풀이하고 있으니 변명의 여지도 없을 것이다.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한 곳이 근본적 안전사각지대로 방치돼 온 사실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다.

이번 사고는 지난해 폭발사고의 복사판이다. 특별점검 결과 한화는 지난해 대전고용노동청에 의해 486건의 법 위반사항이 적발됐다. 작업환경 개선명령도 받았다. 그랬는데 지금까지 무엇을 했단 말인가.

노동계에서는 ‘노동자 죽이는 일터’라고 힐난했다. 이런 식이라면 이 현장에서 또 폭발사고가 일어나지 말라는 법도 없을 것이다.

전국의 방산업체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수만명이다. 이번 한화같은 안전조건이라면 이들의 안전도 보장받을 수 없다. 그러기에 다른 산업현장보다 더 많은 위험에 노출돼 있기에 이곳에서는 안전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한화는 이번에 환골탈태해야 한다. 방산시설이라고 봐주는 구석이 있어서는 더더욱 안된다.

지난해 사고 후 근로감독에서 한화의 현장 안전업무를 총괄하는 ‘환경안전팀’이 주목을 받았다. 그때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 당시 한화 대전공장은 12명의 환경안전팀이 있었지만 유해물질을 다루는 노동자 담당관리자는 1명에 불과했다.

또 한화 대전공장은 모든 공정에 안전보고서를 제출해 고용노동부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도 ‘안전작업허가서 발행이 적정하지 못했고 자체 감사 시 후속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화는 이후 ‘선진형 안전경영모델’ 등을 제시하면서 개선을 다짐했지만 결과적으로 말뿐인 시위로 드러난 것이다.

결과론으로 ‘방산업체에 대한 국가 안전진단이 철저하지 못했다’거나 ‘외부기관의 접근과 조사가 원천봉쇄돼 있어 안전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는 구조’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번 사고는 생각만 해도 소름이 돋을 폭발사고다. 공장 노동자들뿐 아니라 일반 시민의 생명에도 위협을 가하는 것이 폭발이다. 동종사고 방지를 위한 대응체계 마련도 시급하다.

절대로 적당히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