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첨단과학을 통해 국민안전도를 높이겠다고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으면서 내놓는 그럴듯한 발상이다. 행정안전부가 국민의 안전체감도 향상을 위해 올해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에 536억원을 투자한다는 것이다.

여태까지는 재난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하는 것이 주요 연구과제였다. 그러나 앞으로는 시대 발전의 추이에 맞춰 국민생활과 밀접한 재난안전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서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겸 전문인력 양성 등 재난안전분야 산업 육성을 지원하게 된다.

당국은 지난해 5월 25일~6월 8일 사이에 일반 국민 아이디어 조사를 실시하고 열린 토론회 등 국민의 직접 참여를 통해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사업’을 선정했다.

이것이 올해 현실화되는 것이다. 몰래카메라 정밀복합 탐지기를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 예방,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도심지 건설현장 상시안전관리, 폭발 등 위험지역 산업현장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 차량번호판 인식기술을 활용한 소방도로 확보 등이 그 주요 사업에 속한다.

이제는 공모를 통해 결실을 얻는 일이 남았다.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체감하고 실제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안전한 나라로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기 때문이다.

안그래도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긴급한 민원에 대해서는 처리부서장까지의 보고체계를 개선해 신속한 처리가 이뤄질 수 있게 하고 있다.

대상이 되는 민원은 공사현장 등 안전과 관련된 민원으로 균열 사진 등 사고의 징후, 전문가 의견 등 위급한 증거가 첨부된 민원이다.

이밖에도 기타 증거가 없는 경우 중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옹벽 균형발생이나 붕괴위험, 씽크홀, 산사태 및 하천범람 등에 관한 민원도 신속보고건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다.

관련절차를 간소화한 것이 중요하다. 민원실 및 직소민원실 담당자를 대상으로 긴급민원 대응절차 등에 대한 교육도 실시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시대가 되면서 이 또한 다른 모습으로 진화하게 된다. 돌이켜 보면 지난 때의 안전정책들이 세월 따라 발전하는 ‘안전 격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으면서 여전히 강조되는 것은 국민안전의식 향상이다. 안전불감증이 타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어떤 첨단과학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안전불감증을 잡기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이 기대된다.

이 부분도 연구과제가 될 만하다. 첨단시대를 맞아 유튜브가 선두주자로 나서고 있는 모습도 주목된다. 유튜브는 그 편의성과 속도로 모든 홍보의 대세를 장악하고 있다.

이를 통한 안전문화의 확산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안전신문이 이를 예의주시하는 이유도 국민안전 때문이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