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서 퓨마·곰 탈출…서울대공원선 호랑이가 사육사 살해

전국의 동물 관람시설에서 사육하는 맹수가 우리를 탈출해 사육사를 해치거나 동물원 주변을 배회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대부분 관리소홀로 발생해 맹수가 사육사를 탈출하지 못하도록 자동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대전소방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 50분께 대전오월드(동물원이 있는 테마공원) 내 퓨마 사육장에서 퓨마 한 마리가 탈출한 것을 직원이 발견해 119에 신고했다.

연합뉴스.

청소를 마친 직원이 사육장 문을 잠그지 않은 틈을 타서 퓨마가 우리를 빠져나간 것이다.

탈출한 퓨마는 생포에 실패하고 탈출 4시간 30여분 만에 사살됐다.

생후 8년 된 60kg가량 암컷 퓨마가 탈출했다는 소식에 군인·경찰·소방대원 등 수백명이 수색에 동원됐다.

그 사이 대전시는 시민들에게 오월드와 주변 보문산 외출을 자제해달라는 재난문자메시지를 보냈다.

퓨마 한 마리를 잡는 데 막대한 행정력이 동원된 것이다.

동물 관람 시설에서 사육 중인 맹수류의 탈출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3년 11월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우리를 탈출하려던 호랑이가 사육사를 물어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18일 대전 동물원을 탈출한 퓨마가 탈출 4시간 30여분 만에 사살됐다. 사진은 사살된 퓨마 / 연합뉴스.

호랑이 사육장 문을 제대로 잠그지 않은 탓이다.

2016년 11월에는 대전시 중구 대사동 보문산 일대 한 사설 동물 관람시설에서 사육 중이던 새끼 반달곰 1마리가 탈출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새끼 곰은 사육시설의 관리가 소홀한 틈을 타 탈출했지만, 동물원 측은 이를 모르고 있었다.

300여m 떨어진 등산로 부근에서 등산객들이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하면서 탈출 소동은 마무리됐지만 대형 곰이 탈출했다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해 대전소방본부 관계자는 "맹수류 탈출 원인이 대부분 관리소홀인 만큼 사육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우리에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고 말했다.

관리소홀 문제로 맹수류 탈출이 잇따르면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리소홀과 함께 초동대처 미흡, 포획과정에서의 문제점, 유관기관 간 협조체계 구축 등 맹수류 탈출에 따른 매뉴얼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전날 대전오월드의 퓨마를 포획하는 과정에서도 경찰, 소방대원, 민간엽사, 오월드 직원 간 협업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마취총을 맞고 쓰러진 퓨마를 발견하는 데 실패했다.

동물권단체 케어 관계자는 "1987년 창경원에서 침팬지가 탈출하고 2005년 어린이 대공원에서 코끼리 6마리가 탈출하는 등 동물원에서 동물이 탈출한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동물 포획이 불가피한 데 반드시 사살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사과하는 유영균 대전도시공사 사장 / 연합뉴스.

대전오월드 관리기관인 대전도시공사 유영균 사장은 "맹수류 관리에 위성항법장치(GPS) 칩을 내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체계적인 매뉴얼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