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4시간, 일년 365일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공평한 시간이다. 하지만 그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은 각자 다르다.

알차고 유용하게 보내느라 하루가 너무 짧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는 반면 무의미한 시간을 보내며 하루가 빨리 흘러 가기만을 바라는 사람도 있다.

시간은 귀중한 것이다.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 것처럼 시간을 아낄수록 가치는 커진다. 그래서 ‘시간은 돈’, ‘Time is Money'라 하지 않는가. 시간도 시간 나름이어서 아주 비싸고 귀한 시간도 있다. ‘골든 타임(golden time)’이다.

요즘같이 바쁜 때 경쟁이라도 하듯 대형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종류도 다양하다.

건설현장의 추락·붕괴사고는 말할 것도 없고 대형화재·폭발사고가 연발한다. 하늘에서 흉기가 떨어지기도 한다. 아령이며 칼에다 의자가 위에서 날아온다.

웬일인가. ‘위를 보고 걷자’는 노래도 있지만 위를 보고 걷다가 맨홀에라도 빠지는 사고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온통 위태한 세상이다.

지난 세월호 참사와 더불어 국민들의 뇌리에 각인된 용어 중에 골든타임이 있다. 그 골든타임을 허비하는 바람에 엄청난 참사를 불렀다. 다시는 이같은 어리석음을 저질러서는 안된다.

여기서의 골든타임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시간으로 사고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이 시간 동안에 수행한 활동에 의해 인명의 구조 여부가 결정된다.

그래서 행정안전부는 재난현장의 구조역량을 강화하는데 신경을 매우 곤두세우고 있다. 적어도 전국 어디에서나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30분 이내에 초동대응이 가능토록 대처하고 있다. 더 긴급하게는 1초를 다투는 골든타임도 있다.

서울 119의 심장, 서울 중구 남산자락에 위치한 ‘서울종합방재센터’가 1초를 다투는 전쟁터라 불리는 곳이다. 지하 3층 종합방재상황실. 팽팽한 침묵을 깨는 건 곳곳에서 울리는 무전뿐이다. 서울 전역의 119신고가 모이는 이곳은 인명구조의 키를 쥔 골든타임 구현의 출발점이자 24시간 쉬지 않고 ‘1초’를 다투는 전쟁터라는 것이다.

벨이 울리면 곧 해당 신고를 구급상황으로 분류해 출동지령을 내린다. 대형 스크린에 뜬 해당 신고내용이 ‘신고접수’에서 ‘출동지령’으로, 다시 ‘출동 중’으로 전환되는 데 1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대형화재 사고 때는 그 골든타임이 피를 말릴 지경이다. 죽고 사는 경계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골든타임과 사투를 벌이는 119구급대가 일반의 방해로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적어도 긴급차량 소방차의 진로를 막아서는 안된다.

심지어는 119구급대원을 폭행하는 사례도 잦다. 최근 전북 익산소방서 구급대원이 취객에게 폭행당해 순직한 사건이 발생했었다.

지난 2015년부터 올해 4월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119구급대원 폭행사건만 해도 136건으로 피해 구급대원이 156명(남성 141명, 여성 18명)에 달한다.

유형별로는 음주폭행이 대부분이며 단순 우발 6건, 정신질환 4건 등이 있다.

119구급대원 폭행은 공공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범죄다. 이들 ‘황금시간’을 사수하는 사람들은 마땅히 안전하게 보호돼야 한다.

이들 종합상황실 최전방 소방관들의 최우선 목표는 ‘황금시간’ 단축이다. 1초에 목숨이 달려 있으니 늘 신속과 정확이라는 두 가지에 매달리게 마련이다.

현재 상황으로 신고 접수부터 출동지령까지 60초, 현장 도착에 4∼5분으로 평균 6분 정도 걸린다. 이를 합해서 총 5분 안에 출동을 마무리하도록 1분을 단축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언제 어떤 사고든 재난안전관리에서 민관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이 골든타임을 살리는 것이다.

민관협력의 사전적 의미는 ‘보다 효율적인 공공서비스의 실현을 위해 정부, 민간기업, 지역주민 등이 업무를 분담하는 협력관계’를 말한다. 하지만 안전에 있어서는 이 민관협력의 비중이 한층 커지게 마련이다.

선진국의 예를 보더라도 긴급구조, 화재진압 등에서는 현장초동대응의 민간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소방, 해경 등 긴급구조기관이 출동할 때까지 그 골든타임에 민간의 능력이 발휘되기 때문이다.

2014년 홍도 유람선 좌초때 평소 준비가 돼 있던 홍도 주민들의 신속한 구조활동으로 무사히 전원을 살려낸 것이 그 좋은 사례다.

안전한 내일을 위해서는 민관협력의 상시 활동을 활성화하고 이를 위한 행정지원이 마땅히 따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