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계획적 작업이나 작업내용 변경 때 새로운 위험요인 발굴 실패

어찌 이럴 수가 있는가. 아무리 건설현장 사고가 많다고 해도 사람들이 하루같이 툭툭 하늘에서 떨어져 죽고 다친다. 고용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사망자는 33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28명) 대비 17.8%(5명)가 늘었다. 전체 건설업으로 집계하면 이 기간 사고사망자는 154명이다.

정부는 주요 건설사들의 사망재해가 늘어난 것의 대표적 원인으로 ‘새로운 위험에 대한 대응 미흡’을 들고 있다. 비계획적 작업이나 작업내용 변경 등에 따른 새로운 위험요인 발굴에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또 관리감독 인력의 부족, 관리 역량의 한계 등도 지적됐다.

이와 관련 최근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2018년 사망재해 20% 감축을 위한 100대 건설업체 안전부서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고용부와 공단, 100대 건설사 안전부서장들의 모임인 건설안전협의회(CSMC)는 그간 주기적인 간담회를 가져 왔지만 이번에는 정부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옐로카드’를 꺼내 든 차례였다. 건설업계에 대한 경고로 봐야겠다.

특히 건설현장 사망사고 줄이기에 앞장서야 할 100대 건설사가 오히려 실적이 나쁜 것에 대한 질책이라 할 것이다.

건설현장은 산재다발의 본고장이다. 건설현장에서 특히 사고가 많은 것은 공사현장이 많고 다양한 위험요인이 복합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설현장은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세월호 참사이후 경영주들이 안전에 신경을 기울이고 투자도 늘리는 경향이어서 건설현장의 재해는 상당한 감소추세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실제로 안전경영을 통해 무재해를 유지하거나 현저히 재해감소 효과를 보는 곳도 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는 재해 감소 추세를 보이는데 묘하게도 100대 건설사들이 뒷걸음을 치고 있는 것이다.

건설현장의 안전은 철저한 관리와 자율적 안전수칙 준수가 최선이다. 안전관리 우수업체를 독려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은 달콤한 당근이지만 이와 더불어 매서운 채찍도 적용된다. 안전과 관련한 위법행위를 유발하거나 사고를 발생시킨 업체는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다.

건설현장 사망사고 반으로 줄이기를 위한 정부의 초점이 주요 건설사에 맞춰진 만큼 이쪽에서의 성과가 중요하다. 정부가 올 상반기 상위 100대 건설사 현장에 대한 채찍을 드는 모양새다. 근로시간 단축 등 현장 운영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의 시행까지 목전에 닥치고 있어 안전 담당자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건설현장의 재해를 감소시키려면 이곳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안전불감증을 잡아야 한다. 건설업체 스스로 안전자구책을 강화하고 그 결과의 보너스를 획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