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농진청, 교통사고 많은 20대 시·군 마을 50곳 지원

내가 사는 곳이 안전해야 각자의 안전이 확보된다. 안전은 스스로 지켜야 하지만 이것도 협력이 중요하다. 안전한 내 고장을 만들기 위한 첫번째 실천항목으로 꼽을 만한 것이 무엇일까.

우선은 치안을 들 수 있겠지만 이보다 앞서는 것이 교통안전이다. 교통사고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거나 다치고 있는가 말이다. 또한 교통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그래서 요즘 주목받는 것이 대중교통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미 선진국들은 이런 면에 주목하고 교통혼잡비용 등 대중교통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정책을 지원해 지속가능한 도시안전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국토교통부에서 법과 제도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전국 지자체들도 이에 호응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또 한가지 주목해야 할 것이 도시 밖의 농촌지역 교통안전이다. 안그래도 국토교통부와 농촌진흥청이 취약한 농촌지역 교통사고를 예방키 위해 교통안전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지원사업은 국토부와 농촌진흥청이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지난 2013년부터 실시해 왔다. 그런데 올해는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농기계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이 많은 상위 20개 시·군의 50개 마을을 선정해 지원한다.

농기계, 자전거 등은 밤에도 잘 보일 수 있도록 안전반사판 등을 부착하고 어르신들에게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해 보다 안전한 농촌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올해 지원 대상은 전남 16개 마을, 경북 15개 마을, 경남 10개 마을, 전북·제주·경기·충남 9개 마을이다. 국토부는 이런 농촌 지원사업으로 농기계 교통사고에 취약했던 지역의 교통안전환경이 개선돼 사고 발생이 줄고 사망자가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기계 교통사고 치사율이 일반 차량에 비해 8.7배나 높다는 것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농기계 특성상 속도가 느리고 야간 식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일반 국민들도 이 점을 고려해 농촌지역에서의 차량 운행시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것이 안전실천이고 안전문화다. 안전문화를 이해하고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가진 곳이 삶의 질이 우수하고 안전한 고장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그러고 보면 지자체들간에 안전마을을 추구하는 경쟁이 뜨거운 형국이다. 농촌이기에 발생하는 특정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면 그곳은 자연히 안심할 수 있는 내 고장이 될 수밖에 없다. 도시와 농촌이 함께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한다면 안전한 내 고장을 만들기가 한층 수월해지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