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관장 부처와 지자체 연계 강화... 시기·테마별 현장 점검하고 홍보 특화해야

6월이 열린다. 일찍 봄을 내쳐버린 여름이 6월에 들어서고 있다. 올해도 곧 불볕과 찜통더위의 혹서가 맹위를 떨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는 유별했다. 무더위가 길게 꼬리를 끌었다. 이번에도 그러리란 전망이다.

안전사고는 안전수칙을 지키면 막을 수 있는데 이를 외면하다 변을 당한다. 안전불감증 때문이라는데 이제는 이런 변명이 통하지 않는다. 이럴 때일수록 자신의 안전을 위해 안전단속을 철저히 해야 한다.

그 어떤 경우건 안전수칙에 대해 미리 숙지하고 있으면 사고의 예방은 물론이요 훨씬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다. 안전을 위해 힘쓰는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자. 이들이 목숨을 살린다.

정부도 안전·환경 혁신에 역량을 모으는 중이다. 기구도 개편하고 업무도 효율적으로 나누고 고쳐서 옮겨 보낸다. 국민이 이를 지켜보는 중이다. 국민의 안전욕구에 부응하는 새 정부의 의지가 이번에 특별히 두드러져 보이기에 이에 대한 기대도 그 어느 때보다 크다 할 것이다.

이제 우리는 두번 다시 세월호 참사와 같은 비극을 만나서는 안된다. 소방과 해양이 외청으로 독립해 현장을 강화하면 육상과 해상의 초동대응역량이 좋아져 골든타임 확보에도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정부는 이렇게 현장중심 업무를 수행하면서 민간 참여·협력을 통해 국민의 안전체감도를 적극적으로 높여야 한다. 그렇게 국민의 믿음을 사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새 정부는 현장에서 답을 찾겠다는 현장중심의 업무가 무엇인지 그 구체적 사항을 알려주기 바란다.

안전에 있어서는 지자체의 실행의지와 아이디어 개발이 중요하다. 안전 관장 부처가 앞장서서 계절별·시기별·테마별로 현장을 점검하고 위험시설과 사각지대를 제거하러 나서겠지만 이럴 때 지자체와의 연계를 강화해야 하는 것이다.

평시 중앙부처와 지자체간 협의가 원만하다면 재난대비 지속적 협업훈련과 연중교육도 무리없이 실시할 수 있다.

안전문화운동도 중요하다. 정부가 안전정책을 원만히 진행하려면 그 바탕에 안전문화가 깔려져야 한다. 안전문화정착이 우선인 것이다. 국민들의 안전실천을 생활화하기 위해 국민안전교육을 실시하고 특화된 안전홍보로 안전공동체 중심의 안전문화운동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안전사회를 요구하는 국민적 기대와 여망 속에 출범한 새 정부는 반드시 국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가시적 성과를 창출해주리라 믿고, 부디 그리 되도록 격려를 보낸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