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전주 등 지자체들 자발적으로 안전한 내 고장 개발사업 추진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셋째도 안전이다. 안전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왜냐하면 안전은 곧 생명이기 때문이다. 충남도의 부여군이 지난 월초 국제안전도시 지원센터 아주대학교 지역사회안전증진연구소와 국제안전도시 공인 추진을 위한 업무지원 협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협약에 따르면 앞으로 양 기관은 ▲국제안전도시 공인 업무 전반에 관한 자문 ▲군민 안전증진 프로그램 개발 ▲국내외 안전도시 네트워크 구축 ▲국제안전도시 공인 관련 사업방향 수립 같은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상호 협력하게 된다.

부여군은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최종 목표로 민·관 합동 안전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고 사고와 손상을 최소화하는 안전 증진 사업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를 전문적인 용어로 설명하자니 오히려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안전한 내고장을 만들고 이를 확실히 인증받아 지역의 자긍심을 고취하겠다는 것이다.

지자체들이 안전도시, 안심마을을 구축하려는 노력은 일찍이 시작됐고 정부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하려는 움직임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지자체들이 자발적으로 안전도시의 꿈을 갖고 있고 이를 위해 기존의 WHO 안전도시 인증을 받으려 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안전처가 생겼고 국민안전의 컨트롤타워로서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종전의 안전도시 계획에는 더 이상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지자체들이 자발적으로 안전도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아주대학교 지역사회안전증진연구소는 일찍부터 안전도시 사업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국제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부여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 위상에 걸맞은 안전한 도시를 만들겠다는 목표가 있기에 아주대학교 지역사회안전증진연구소와 손을 잡은 것이다.

나는 안전한 곳에서 살고 있는가. 내가 사는 곳은 안전한 곳인가. 이런 질문에 스스로 예라고 답할 수 있다면 안전체감도는 최상이 될 것이다. 이런 곳이 안전도시다. 안전도시를 만들기 위해 국민안전처가 노력하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다. 다만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니 확실한 인증절차를 마련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아쉽다.

또 예로 전주시의 경우를 보자. 전주시는 도시디자인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0년을 목표로 도시의 면모를 새로이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로 변화하면서 문화의 다양성이 있는 품격 있는 도시로 탈바꿈하겠다는 것이다. 적어도 비전을 가진 도시라면 안전을 최우선가치로 세우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

안전도시 구축을 위해 활동하는 기관이 또 있다. 지자체들과 MOU를 체결하고 전국을 뛰는 안전보건공단이다. 다시금 안전도시를 강렬하게 홍보하라. 정부는 안전도시 인증을 위한 분명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