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힘들고 어려웠던 한해 병신(丙申)년을 보내고 이제 힘찬 희망의 정유(丁酉) 2017년 새해를 맞았다.

그러나 국민들은 불안하다. 정국의 혼돈 속에서 안전이 제대로 보일리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안전정책에 대해 새해에는 국민들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그 체감도부터 확인해야 할 것이다.

성폭력과 학교폭력에의 직접 당사자인 여성과 학생의 경우는 불안이라기 보다 차라리 공포라고 해야 할 만큼 가슴을 조였다.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데도 정부가 안전종합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우리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제안하고자 한다. 정국이 혼돈할수록 안전부터 챙겨야 하지 않겠는가. 안전 없이는 나라도, 국민도 없다.

사실 엄밀한 의미에서 새해의 개념이란 유구하게 흐르는 시간대의 단순한 연장선상일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더욱이 새해라고 해서 묵은 문제들이 단숨에 해결되는 것도 아닐텐데 그럼에도 사람들은 굳이 새해의 의미를 부각시키려 한다.

우리에게 엄습해 오는 새해의 신선한 자극은 비록 그때가 지나고 보면 지난 일에 그치고 말더라도 새로운 각오와 작심에의 촉매로 거듭 태어나곤 하는 효과와 매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 정유년에는 국가와 국민들에 꼭 주목을 받아야하고 실현의 가능성을 인정받아야 할 중요한 제안이 있기에 그 시기를 새해 벽두에 맞춰 요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지난해엔 ‘안전’이야 말로 우리들에게 가장 중요한 이슈였음에도 요동치는 정치파동에 휩쓸려 표류 중이다. 안전은 바로 생명의 지킴이란 사실을 세월호 참사로 실감하면서도 안전을 입에 올리는 경우조차 국민 입장에서 부족했다고 볼 수밖에 없었다.

우리가 평안할 때는 안전이 무엇인지 모른다. 한순간이라도 안전을 놓치면 재난과 사고는 그 빈틈을 여지없이 파고드는 속성을 지녔다. 이러다 큰일 날 수 있고 막상 재난에 처하고 보면 또 그때는 후회 말고 다른 대안이 없는 법이다.

새해에 들어 서서는 당국의 집중적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살려내기 위해 무엇보다 국민적 차원에서 ‘안전은 우리 모두의 공동의무’란 안전의식을 우리 모두의 몸과 의식에 심는 것이 첫번째다.

힘들고 번거롭더라도 우리는 지속적인 범국민적 안전의식 심기에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안전문화가 정착돼야 재해·재난도 줄 터인데 우리는 아직도 소중한 안전을 우리 자신의 것으로 챙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동안 우리는 대형재난의 고통에 시달려 왔다.

돌이켜 보면 우리 주변에 팽배한 안전불감증이 무수한 생명을 앗아가고 그에 책임을 져야 할 주체들은 돈이란 알량한 수단을 내세운 후 보상행위로 사건을 무마하곤 했었다. 죽은 자는 말이 없으며 생명의 값이 얼마로 치부되든 그 때문에 다시 벌떡 일어설 일이 없으므로 보상이란 덕목이 힘을 얻는 세상이다.

안전문화란 피해의 충분한 보상이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 어떤 수단으로든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을 추구하는 것이 안전문화다. 그런데 누가 어디 가서 “우리 힘을 합쳐 새로운 선진 안전문화를 창출하자”고 역설한다면 말 잘한다고 박수를 쳐주기보다는 세상 물정 모르는 한가한 사람이라고 핀잔이나 하지 않을까.

잠시 숨 돌릴 여유없이 잇따라 사고가 터지면서 정말 지겨울 정도로 온통 대형사고 소식이 뉴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판에 말로만 떠드는 안전대책이 무슨 소용이겠느냐는 자조적 포기현상도 드러나 보인다. 사고다발 현상이 안전불감증을 부르고 이 불감증이 또 사고를 유발하는 악순환을 낳는 것이 지난날의 우리 현실이다. 이대로 내버려 뒀다가는 또 어떤 대형재난에 우는 날이 올지 모른다.

우리들이 당하고 있는 사고 유형은 지극히 원시적인 사고패턴의 반복으로 일관하고 있으니 그것부터 바로 해결해야한다. 이제야말로 안전문화의 새 지평을 열 때가 온 것이다.

어찌 보면 무미건조하기 짝이 없는 이 안전이란 명제에 관심을 갖게 만드는 일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만치나 애매하고 어려울 듯싶지만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세상에 자신을 아끼지 않는 사람은 없다. 그 자신에 대한 아낌을 국가와 사회에 포함된 자신으로 확대하면 그때야말로 안전의식이란 것이 각자의 머리와 가슴에 매우 소중한 가치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

안전불감증을 설명하기란 여간 까다롭지 않지만 안전불감증이란 쉽게 말해 ‘위험한 상황임이 분명하지만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위험한 것을 위험하다고 생각지 않고 있다가 큰 변을 당한다는 얘기다.

그래서 새해엔 정부가 각 부처에게 안전대책을 세우고 정신을 바짝 차려 각 기관의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국민안전처가 재난·안전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한치의 빈틈도 둬서는 안된다. 더욱이 사후 책임보다 사전 책임이 더 중하다는 사명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우리들의 궁극의 목표는 이 땅에 안전문화를 정착시켜 안전한 나라에 행복한 국민으로 사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안전문화 확산운동이 필요하고 국민안전처의 기능이 충실히 발휘돼야 하며 더불어 이에 대한 중단없는 홍보가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지난해는 정부도, 국민도 홍보의 힘과 중요성을 확인한 한해였다. 특히 정치쪽에서 그랬다. 잘못된 홍보는 오히려 국민을 불행하게 만든다는 사실도 모두들 체감했을 것이다. 그래서 정확하고 확실한, 그리고 전문적인 홍보가 절실한 것이다.

국가의 안전시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은 무엇인가. 다수의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대국민 홍보와 설득이 그 답이다. 국민들이 안전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홍보해야 한다. 시작만 해놓고 발을 뺀다든가 변죽만 울리는 제스처는 차라리 없느니만 못하다.

안전을 추구하는 선진국은 혼자서는 어려운 것을 여럿이 합심해 극복해 내는 안전시스템을 활용한다. 우리도 이와 같은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안전신문이 있다.

안전신문은 창간 28년의 안전전문 언론매체로 그간 꾸준히 안전노하우를 개발하고 독자와의 소통을 통해 국민안전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해 왔다. 국민안전, 국민행복의 초석을 쌓을 이 새해에 안전신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자임하며 황교안 대통령 대행에게 안전 제안을 드리는 바이다. 국민안전처 등 국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로 안전홍보와 교육에 특단의 대책을 세울 것을 정중하게 요청한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