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지역안전지수 발표에 전국 지자체 긴장

지자체장들이 두려워하는 것이 있다. 두렵다기보다 몹시 신경이 쓰이는 부분인데 다름 아닌 국민안전처 발표의 지역안전지수란 것이다. 지역안전지수는 안전에 관한 국가주요통계를 활용해 지자체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다. 이는 위해지표(사망자수 또는 사고발생건수), 취약지표(위해지표를 가중), 경감지표(위해지표를 경감)로 구분, 산출식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화재, 교통사고,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등 7개 분야로 나눠 발표한다.

이번에 국민안전처가 2016년 전국 시·도, 시·군·구의 지역안전지수를 공개하자 각 지자체마다 ‘우리 지역 안전지수는 얼마나 올랐나’ 하며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안전지수 발표는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인데 올해는 지난해 대비 각 지자체들의 등급이 얼마나 개선됐는지가 국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먼저 광역지자체 안전지수 산출결과 특징을 보면 특별·광역시 지역에서 2개 분야 이상 1등급을 받은 곳은 서울과 세종, 2개 분야 이상 5등급을 받은 곳은 부산과 세종이다.

도 지역에서 2개 분야 이상 1등급을 받은 곳은 경기, 2개 분야 이상 5등급을 받은 곳은 강원, 전남, 제주이다. 경기도는 지난해에 이어 유일하게 5개 분야에 걸쳐 1등급을 받았다.

7개 분야 중 평균 3개 분야에서 등급이 변동됐고 4개 분야에서 등급이 유지됐다. 가장 많은 분야에서 등급이 상승한 지역은 특별·광역시 지역의 경우 광주, 도 지역의 경우 전북이다.

광역지자체간 등급 변화는 안전사고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뤄졌고 자살 분야는 모두 지난해 등급을 유지했다. 기초지자체 안전지수 산출결과 특징을 보면 2개 분야 이상이 1등급을 받은 곳은 총 41개소이고 2개 분야 이상 5등급을 받은 곳은 34개소이다.

가장 많은 분야에서 등급이 개선된 시 지역은 경남 밀양시 등 4개소, 군 지역은 경북 의성군, 구 지역은 서울 노원구였다. 기초지자체간 등급변화는 자연재해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뤄졌고 범죄 분야에서 변화가 많지 않았다.

상황이 이렇게 밝혀지다 보니 상태가 나쁜 결과로 나타난 지역은 비상이 걸렸다. 지역 언론들이 날카로운 자체비판을 하고 있다.

앞으로 전국 지자체들은 스스로의 상태를 파악한 후 안전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할 것이다. 서로 좋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선의의 경쟁도 더욱 치열하게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안전을 위해 노력하는 곳은 보상도 따른다. 각 지자체가 지역안전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선의의 경쟁을 벌여 결과를 향상시키면 소방안전교부세 교부시 더 많은 혜택을 주기로 한 것이다. 안전만큼 소중한 가치가 따로 있겠는가.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