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무시하면 어떤 결과 오는지 확실히 보여주는 반면교사 삼아야

또 불이다. 그것도 아주 큰 불이다. 지난 2005년 대화가 휩쓸고 갔던 대구 서문시장에 11년 만에 또다시 화마가 찾아와 시장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지난 11월 30일 새벽 대구 서문시장 4지구에서 발생한 화재는 ‘예고된 참사’라고들 말한다. 그렇다면 이곳의 안전을 담당하는 시를 비롯한 소방서 등 안전기관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단 말인가.

행정당국은 이같은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화재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렇게 큰 불이 났다 하면 일단 이 안전진단이란 것이 형식적인 겉치레에 불과한 것이 아니었던가 하는 의심이 들게 마련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대구시는 이미 구조진단전문가, 구·군청 공무원과 합동으로 해당 시장에 대한 전기안전 및 소방 점검 유무, 건물안전도 등을 집중 점검했다고 한다.

시장화재에 대한 통계 분석을 보면 전기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다. 또 수없이 드나드는 상인이나 손님들이 버린 담뱃불, 겨울철 난방을 위해 사용하는 난로 등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더욱이 간이 난방기와 화기 사용이 급증하는 겨울철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시장의 특성상 대량으로 적재된 상품은 화재시 급격한 연소의 원인이 된다. 특히 석유화학제품군은 짙은 연기와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인명이 쉽게 질식하는가 하면 화재진압에도 어려움을 준다. 또 점포가 밀집돼 있어 전통시장의 특성상 대형화재로 번지기도 쉽기 때문에 아예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발생시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서문시장 화재사고를 반면교사로 우리는 안전에 대한 의식 재무장을 다짐해야 한다. 이곳과 같이 화재에 취약한 곳이 전국적으로 상당수에 이를 것이다. 안전에 대한 의식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을 땐 어김없이 찾아드는 사고를 감당하기 어려운 법이다.

당국의 철저한 점검조치가 뒤를 따르겠지만 이로서도 재난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 이유가 얼마나 안전의식으로 무장하고 있는지가 문제되기 때문이다. 이대로 가다간 이번 서문시장 화재같이 또 어떤 대형사고가 닥쳐올지 모르겠다. 이곳에서 재연된 것처럼 동종사고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위험의 징조가 연속해서 드러나면 정신을 바짝 차리고 이에 합당한 대처를 해야 한다. 이러다 큰일 난다.

안전을 무시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무슨 참사가 곧바로 찾아드는지 확실히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가 이번 대구 서문시장 화재다.

저작권자 © 안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